PLAY VOID : 학교공간의 재해석
  • 구지혜 / 2019116521
  • 2021 , design 4 , Prof. 양성용

많은 건축물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그 모습을 바꿔왔음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그 형태가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동선의 효율을 위해 일자로 늘어선 교실과 복도, 극단적으로 나뉘어져 있는 외부와 내부 공간 등이 그 예시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길러야하는 청소년기인 만큼 현재 학교는 일방향적인 수업방식과 공간을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해줄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의 획일화된 공간을 벗어나 다양한 놀이와 체험이 가능한 외부공간들을 조성하고 내부와 외부가 보다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해 보다 자연친화적인 학교를 만들고자 했다.

 

 

 

 








 

목록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