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1. 제 41회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졸업작품전

    41st KNU School of Architecture Graduation Exhibition


    <"필연적 공간, 우연의 장소(Designed Space, Lived Place)">


    건축은 계획된 의지의 산물입니다. 구조와 기능, 환경과 규범, 사회적 맥락까지 공간은 수많은 분석과 설계, 선택의 결과로 태어납니다. 우리는 그것을 '필연적 공간(Designed Space)'이라 부릅니다. 이는 인간의 사고가 물리적 현실로 구현된 결과물이자, 시대를 반영하는 의식의 형식입니다. 그러나 삶은 언제나 그 경계를 넘습니다. 건축가가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공간은 점유되고, 해석되고, 체화됩니다.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몸짓으로, 특정한 기억이 깃들며 공간은 장소가 됩니다. 이렇게 삶의 감각과 흔적이 얹힌 자리, 그것이 바로 '우연의 장소(Lived Place)'입니다. 


    제41회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졸업작품전은 이러한 이중성을 질문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필연'의 논리를 바탕으로 하되, '우연'의 가능성을 품은 공간을 구상할 수 있을까? 기능 너머의 감각. 프로그램 바깥의 서사, 경계 이후의 관계를 통해, 건축은 언제 어떻게 장소가 될 수 있을까?

    올해 졸업생들의 작품은 다양한 스케일과 맥락에서 이 질문에 응답합니다. 도시의 틈새에서, 지역의 경계에서, 공동체의 흔적속에서, 혹은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 속에서 이들은 저마다의 '필연'을 구축했고, 그 위에 '우연'을 머무르게 했습니다. 이 전시를 통해 삶과 건축, 공간과 장소 사이의 긴장과 균형을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를 가지시길 기대합니다. 

    Exhibition Key Map

Professor

  • Studio A
    Prof. 윤철재
    졸업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여러분이 쏟은 시간과 열정의 무게를 잘 알기에, 이번 전시가 더욱 값지게 느껴집니다. 건축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서로의 아이디어를 경청하며 함께 완성해온 그 과정은 무엇보다 소중한 기억으로 오래도록 남을 것 같습니다.
    설계작품을 만들어가는 여정은 주어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이라는 제 학생시절 은사님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여러분은 이제 앞으로의 인생에 남을 하나의 커다란 문제를 막 풀어내고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앞으로 여러분 앞에 펼쳐질 더 넓고 깊은 건축의 여정에 따뜻한 응원을 보냅니다.
  • Studio B
    Prof. 윤현철
    졸업작품전을 준비하느라 학생들, 교수님들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 역시 졸업반을 맡으면 어떻게 해야 할지 오래 전부터 기대가 컸는데, 학생들의 열정에 크게 영감을 받았습니다.
    5학년 1학기 설계를 통해 학생 여러분의 건축에 대한 열정이 더욱 깊어지고 시야가 보다 넓어졌으리라 확신합니다. 백일홍처럼 오래 피어나서 향기가 널리 전해지길 기원하고, 그 꽃말처럼 앞으로도 인연을 이어가기 기대합니다.
  • Studio C
    Prof. 김아름
    매 학기 반복되는 치열한 마감 속에서, 건축에 대한 열정과 애증으로 5년을 지내온 여러분께 따뜻한 격려와 박수를 보냅니다.
    졸업작품전이라는 마침표를 통해 여러분의 건축적 사고는 더 단단해지고 그 안에 담긴 수많은 시간과 고민을 통해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도 생겼으리라 생각합니다. 사회로 나아가는 여러분의 첫걸음을 열렬히 응원합니다.
  • Studio D
    Prof. 최승호
    사랑하는 학생 여러분, 졸업전시회를 준비하느라 모두 수고가 많았고 한 학기 동안 긴 여정을 잘 이겨내 주어서 고맙습니다.
    저는 패널 위에 그려진 선 하나, 모형 위에 올려진 재료 하나에도 의미와 형식을 두고 끝없이 고민하고 밤늦도록 씨름하던 여러분의 모습이 보입니다. 그 모든 과정이 쉬운 길이 아니었고, 때로는 답이 보이지 않는 터널 같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여러분은 포기하지 않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멋지게 돌파해냈습니다. 앞으로도 지금처럼 치열하게 고민하고 용기 있게 도전하기를 바라며 여러분이 만들어낼 멋진 미래의 건축을 기대해봅니다.